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250x250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세금계산서
- 공매
- node
- pod
- 농지연금
- Filter
- boto3
- 신탁공매
- python
- 금융소득
- AWS
- 경매
- serverless
- 외국납부세액공제
- S3
- 산지연금
- 매입불공제
- 양도소득세
- lambda
- 인덱싱
- 리소스
- 성능개선
- route53
- 임업후계자
- kubectl
- 정책자금
- Kubernetes
- OpenSearch
- command
- Resolver
Archives
- Today
- Total
진지한 개발자
NLB load balancing 본문
728x90
이슈
zone A에 서버 한 대, zone C에 서버 두 대 운영 중.
cross zone load balancing을 사용하지 않으면 zone A에 50%, zone C에 50% 분산하고 zone C에서 서버 두 대로 25%, 25% 분산할 것이라 예상했는데 그러지 않음.
클라이언트에서 5000개의 요청을 보내면 zone A, zone C 에서 각각 2500개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은 확인.
zone C에서 각 서버가 1250개씩 요청을 처리할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그러지 않고 한 서버가 요청을 더 많이 처리해 부하가 발생.
cross load balancing 동작에 대해 확인 가능하신 부분이 있다면 확인 요청.
체크포인트
교차 영역 로드밸런싱이 활성화 되면 AZ에 관계없이 등록된 각 대상이 NLB 노드에서 동일한 트래픽을 수신해야 합니다.
교차 영역 부하 분산을 사용하지 않는 로드 밸런싱에 대한 설명입니다.
\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네트워크 로드 밸런서는 DNS (Domain Name System) 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여러 가용 영역에 배포된 로드 밸런서 노드로 분산합니다.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위의 문서를 바탕으로 DNS 에 대한 추가 요소를 고려하셔야 합니다.
1.캐싱
클라이언트가 DNS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가져오는 경우 TTL을 위해 유지합니다.TTL 내에서는 다른 IP 주소 (NLB 노드) 를 요청하지 않습니다.즉, TTL 중에는 클라이언트에 대해 로드 밸런싱이 수행되지 않습니다.
2.DNS 정책
DNS 정책 (Route 53 정책) 이 있는 경우 트래픽은 DNS 정책을 기반으로 분산됩니다.
3.클라이언트 수
클라이언트가 많으면 부하 분산이 상당히 균등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.그러나 클라이언트가 적으면 트래픽 불균형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.
4\. Within in AZ
하나의 AZ에 여러 대상이 있는 경우 트래픽은 하나의 AZ 내에서 균등하게 분산됩니다.
예를 들어 AZ가 1000개의 요청을 받는 경우 해당 AZ의 두 대상은 각각 약 500개를 받습니다.
(고객님께서 테스트 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 됩니다.)
요약하면,
각 AZ가 수신하는 트래픽 양은 DNS/DNS 정책/클라이언트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교차 영역 부하 분산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더라도 트래픽 분산은 고정 세션/수명이 긴 TCP 연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728x90
'IT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penSearch Service 클러스터에서의 인덱싱 성능 개선 (0) | 2024.02.17 |
---|---|
OpenSearch Service 클러스터의 검색 대기 시간 급증 문제를 해결 (0) | 2024.02.17 |
AWS VPN (0) | 2024.02.17 |
Lambda (1) | 2024.02.08 |
Lambda (0) | 2024.01.24 |